티스토리 뷰
몇날 몇일을 엑셀표만 보려고 하니 머리에 쥐가 날 것 같다.
드디어...! 부품리스트 정리가 끝이났다.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dEW7bQVtZyIc_yPHzYeBe4rF6z6xtoFH4kJ7jSFFtJM/edit#gid=1778094703
위 링크는 https://hevo.wiki 에도 등록이 된 부품 리스트이다.
내가 직접 작성한 것이고 엑셀의 함수를 그대로 적용하여 계산한 수치이다.
대충 계산해보니 기본 옵션 적용시 40만원정도 나온다.
물론 모든 부품은 국내배송이며, 배송비 포함 가격이니 참고...
나는 기존의 하이퍼큐브를 분해하여 사용할 것이기 때문에 T-Nut는 100개만 구입하였다.
권장 수량은 150~200개이다. 그리고 국내에는 2020프로파일에 사용하는 T-Nut M5사이즈가 없다.
따라서 3030프로파일에 사용되는 T-Nut M5사이즈를 구입하거나, 인서트 너트를 사용해도 무관하다.
사실 정신건강에 이로운 것은 인서트 너트이다. T 너트는 잘못 조립하면 너트가 프로파일에 제대로 고정이 되지 않는다.
인서트 너트는 프로파일에 미리 넣고 시작해야하기 때문에 조금 귀찮긴 하지만 고정은 확실히 된다.
위 항목중에 노란색 체크된 것은 옵션항목이다. 따라서 구매해도되고 안 해도 되는것들...
1. 우선 PEI 시트
PEI 시트는 온도가 증가하면 약간 끈적이는 경향이 있으며 베드에 안착 테이프나 캡톤 테이프,
마스킹 테이프를 바르지 않아도 된다. 보통 60~70도 사이에서 사용하며 출력이 완료된 후 베드가 식으면
출력물이 쉽게 떨어지며, 온도가 60~70도 사이에서는 출력물이 아주 튼튼하게 고정된다.
요즘 대세인 마그네틱 시트도 있다.
마그네틱 시트의 장점은 쉽게 출력물을 떼낼 수 있다는 것이고, 무엇보다 시트를 완전히 접어버리지 않는 이상
재활용이 가능하다. PEI시트는 베드에 부착할 때 3M 양면테이프로 붙여버리기 때문에 나중에 떼려면 베드 위에 테이프를
한 장 발라주고 붙여야 한다. 또한 PEI 시트는 수명이 있기 때문에 수명이 다되면 갈아줘야 한다. 마그네틱 시트의 수명은
아직 잘 모르겠으나, 단점으로는 금속 오토레벨링 센서 사용시 센서가 작동 안한다는 이슈가 있다.
2. BLTouch
비-싼-고오-급 센서
오토레벨링할때 아주 탁월한 성능을 보여준다. 기존의 금속센서는 센서 크기가 너무 컸고, 오차가 좀 있었다.
가장 정확한 것은 엔드스톱 스위치를 쓴 것도 있는데 설치가 번거롭다. 이번에 새로 나온 센서인 BLTouch는
외국에서도 인기가 많다. (국내에서 제작한 센서임)
가격이 42000원이라는 점에서 조금 비싼감이 있긴 하지만 정확하면 됐다....
아 물론 펌웨어도 살짝 바꿔줘야 하므로 다른 3D프린터 사용시에는 참고하여 펌웨어를 수정해야 한다.
3. 안티와블 리드스크류
보통 이렇게 Z축 리드스크류에 설치하는 리드스크류이다. 기존의 리드스크류는 위아래로 살짝 유격이 있다.
따라서 와블이 발생하는데 위아래로 스프링과 리드스크류가 잡아줘서 와블이 없다고 한다. 이것도 뭐 옵션질이긴 하지만
있으면 좋을것같아 구매했다.
4. RAMPS 1.5
RAMPS1.4 / RAMPS 1.5 / RAMPS 1.6
나는 RAMPS 1.5를 구매하였다. RAMPS 1.4는 MOSFET에서 열이 상당하고 폴리스위치가 너무 거슬린다.
RAMPS 1.6은 다소 가격이 비싸지만 파워 커넥터가 하나로 변경되었다. 난 개인적으로 파워 커넥터는
넉넉히 공급되는게 좋다고 판단했다. RAMPS 1.6부터는 핫엔드용 쿨러 커넥터 핀이 따로 부착된다고 한다.
그냥 맘편히 RAMPS 1.5 구매...
만약에 뭘 구매할지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위 표에서 RAMPS 1.4 + Arduino Mega + A4988 + 2004 LCD 세트를
구매하는 것이 가장 마음이 편하다. 괜히 사용할줄도 모르는데 함부로 구매했다가 낭패를 보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5. 24V SMPS & Super MOS Switch
히터베드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12V SMPS를 사용하면 다소 온도가 오르는게 더디다.
따라서 24V SMPS를 사용하여 히터베드를 데워주는 것이 빠르게 사용할 수 있다.
다만 RAMPS 1.5보드의 전원 공급부에 24V를 입력하면 바로 터진다.
아두이노 내부의 벅 컨버터가 최대 입력전압이 12V이기 때문...
난 한번 아두이노 + RAMPS 1.4 + A4988 통째로 다 날려먹어봐서 24V는 안쓰고 있었다.
만약에 12V / 24V 둘 다 사용하고 싶으면 12V 벅 컨버터를 따로 구매하거나, 12V SMPS, 24V SMPS
두개 다 구매하여 24V는 핫엔드, 히터베드용으로 사용하면 된다. 12V SMPS는 아두이노 공급전원용...
다음 포스팅에선 BOM 커스터마이징에 대해서 해볼 예정입니다...
'3D 프린터 > Hypercube Evolu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cube Evolution] Dual X Carriage 개조 (0) | 2019.06.04 |
---|---|
1.3 Hypercube Evolution - Configuration (0) | 2019.01.22 |
1.2 Hypercube Evolution - Introduction (0) | 2019.01.18 |
- Total
- Today
- Yesterday
- Arduino
- 리눅스
- 3d프린터
- C++
- esp32
- DIY
- Fusion 360
- 3D Printer
- 설계
- 3D 프린터
- 오픈소스
- SQLITE3
- 퓨전360
- C언어
- 라즈베리파이
- ESP-IDF
- 아두이노
- Hypercube
- fusion360
- 오픈소스 하드웨어
- 해커랭크
- 코딩테스트
- 자작
- ESP
- 3D
- IOT
- 쏘카
- 하드웨어
- 프로젝트
- 프린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