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3D 프린터
- ESP-IDF
- 퓨전360
- 오픈소스
- 쏘카
- C++
- 3D Printer
- esp32
- 자작
- 코딩테스트
- 오픈소스 하드웨어
- 프로젝트
- 하드웨어
- C언어
- 프린터
- DIY
- 해커랭크
- 리눅스
- SQLITE3
- 3D
- fusion360
- 아두이노
- 설계
- Arduino
- 3d프린터
- 라즈베리파이
- ESP
- IOT
- Hypercube
- Fusion 360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40)
09LABS

최근 재미난 프로젝트를 하나 진행하고 있다.취미로 하고있던 심레이싱에 기성품 핸들이 아니라 실제 차량의 핸들을 장착하고 싶어하는 동호회원이 꽤 있었다.예전에 포르쉐 911 핸들을 작업한 적이 있었는데 버튼을 하나 하나 납땜을 해야하다보니 굉장히 힘들었던 기억이 있다.조그 다이얼은 살리지 못했고 푸시버튼과 패들 쉬프트만 살릴 수 있었다. 제어보드도 에어백 커버 안에 넣다보니 배선이 굉장히 난잡해졌었다.그 다음은 벤츠 W212 핸들이었는데 SMD 택트 스위치라서 납땜이 불가하여 클락션과 패들 쉬프트만 살려서 보냈었다.그래서 생각을 해보니 여태 실패했던 이유가 CAN 신호를 취득하지 못하거나 저항값을 읽기가 매우 불편해서였는데 이번엔 CAN 신호를 사용하는 현대 차량의 핸들을 의뢰받았다.핸들 모델과 회로도첫 ..

홈 서버를 운영하면서 한가지 불안한 점이 있었다.공유기를 타고 바로 내 홈서버에 접속이 가능하다는 점이었는데 포트포워딩으로 일부 포트만 열어둬서 찝찝함이 없지않아 있다.예전에 라즈베리파이를 공유기에 꽂아놓고 포트를 전부 개방했다가 해킹당해서 라즈베리파이를 포맷하게 된 적이 있었다.물론 그 때 라즈베리파이의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았던 탓도 있었다.다행히 최근에는 Raspberry Pi Imager에 사용자 계정을 커스텀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아무튼 홈서버를 보호하고자 직장 동료에게 물어보니 성능이 그렇게 좋지 않은 라즈베리파이로 Reverse Proxy 역할을 하게 해주면 안전하게 기기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고 들었다.그럼 Proxy와 Reverse Proxy의 차이는 뭘까?Proxy? Reverse Pr..

회사에서 DevOps 업무를 진행하다보니 집에서도 연습을 할 필요성을 느껴서 지난번에 구매한 NAS에Kubernetes를 설치해보기로 했다. Docker를 미리 설치해두었고 Kubernetes를 on-premise 환경에 구축하는 것은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경량 Kubernetes인 k3d를 사용했다.그리고 아래 내용을 반영하여 서비스 배포까지 고려하여 환경을 구축했다.- Ingress Nginx : traefik 대신 Ingress Controller로 사용- ArgoCD : helm chart로 만든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배포하기 위해 사용사전에 OMV NAS에 미리 Docker를 설치하고 진행하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그럼 시-작K3D 설치 후 클러스터 생성$ wget -q -O - https://raw..

2015년에 처음 3D 프린터를 접하고 거의 4~5 종류의 프린터를 사용해본 것 같다.처음 구매한 3D 프린터는 Sunhokey Prusa i3 제품이었다.Original Prusa i3랑은 완전히 연관이 없는 제품이다. 프레임은 전부 아크릴이고 연마봉으로 된 레일, RAPMS 1.4 보드,아두이노 메가, 2004 LCD 조합으로 된 제품이었다.모터가 나름 소음이 적은 제품이어서 쓸만했던 것으로 기억한다.테스트용 필라멘트로 ABS를 출력하다가 수축이 너무 심해서 바로 PLA를 따로 구매했다.(알리 판매자는 왜 ABS를 보내줬을까....)자작도 몇번 해보고 마지막으로 Original Prusa i3 MK3를 Prusa Bear로 모딩을 하고 한동안 잘 사용하다가주변에서 계속 뱀부랩 뱀부랩 하는 이야기를 들..

안녕하세요. 09LABS 입니다.요즘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Frontend + Backend Application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에새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Electron에 대해 접하게 되었습니다.동료의 얘기로는 Electron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레임워크라고 했고 Javascript 이기 때문에 C, C++로 개발을 했었던 제가 처음 접하기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Electron은 JavaScript와 HTML, CSS를 사용하여 Desktop Application을 만들 수 있는 Framework 입니다.Windows, MacOS, Linux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이기 때문에 OS를 가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어떤 언어를 시작하더라도 Hello World를 ..

안녕하세요.09LABS 입니다.작년 8월에 마지막 글을 올리고 긴 시간이 흘렀습니다.그동안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정들었던 쏘카를 떠나 새 직장에 적응하고 해외 출장도 여러번다녀오느라 많이 바빴습니다. 이제야 조금 쉴 틈이 생겨서 다시 블로그를 해볼까 합니다.오늘은 자작 NAS를 구입하여 리뷰를 올립니다.전에 라이젠 3600으로 자작 NAS를 만들다가 TDP가 너무 높아 상시로 구동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어보여NAS를 알아보다가 구매하게 되었습니다.AOOSTAR WTR PRO라는 제품이고 Intel N100 프로세서가 탑재되어 있습니다.박스는 배송중 모서리만 살짝 찌그러져서 왔습니다. 전면에는 제품 사진과 로고가 찍혀있습니다. 박스를 꺼내보면 완충재와 함께 충전기, 메뉴얼이 들어있습니다.완충재가 튼튼해서 ..

안녕하세요. 09LABS 입니다.오랜만에 DIY 글로 찾아왔습니다.최근 레이싱 시뮬레이터에 푹 빠져서 주변 장비들을 만들고 있습니다.현재까지 완료한 프로젝트는1. 페달 접이식 Direct Drive Base 거치대2. DIY 2UN 모션 시뮬레이터3. 윈드 제너레이터4. 5인치 DDU5. 페달 진동모터진행중인 프로젝트는1. Porsche 911 GT3 Steering Button Box2. Froce Feedback Active Pedal입니다.오늘은 Simucube 사의 Active Pedal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고 DIY Active Pedal 프로젝트를 소개할까 합니다.위 사진은 Simucube 사의 Active Pedal입니다.개당 가격이 거의 300만원에 육박하는 매우 고가 장비입니다.심레이싱에..

안녕하세요. 09LABS 입니다. 지난 강의에서는 ESP-IDF 빌드 시스템 구축 후 기본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멀티태스킹과 유사한 Task API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멀티태스킹은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싱글코어 MCU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Task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싱글코어 MCU의 경우 Task를 여러개 생성하면 동시에 처리되는 것 처럼 보이지만 스케쥴러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됩니다. 위 그림과 같이 프로그램을 3개 실행한다고 했을 때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에 따라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순서가 결정됩니다. 만약 듀얼코어 MCU를 사용한다면 멀티태스킹이 어떻게 실행될까요? 제가 사용하는 ESP32-S3 MCU는 듀얼코어 CPU로..

안녕하세요. 09LABS 입니다. 저번 강의에서는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빌드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SP-IDF 프로젝트는 여러 구성요소가 융합된 형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온습도 센서를 사용한 웹서버의 경우 아래와 같은 Component들이 사용됩니다. - Wi-Fi 드라이버 - TCP/IP Stack - FreeRTOS 운영체제 - Web Server - Sensor Driver - Main code ESP-IDF에서 프로젝트를 컴파일하기 위한 빌드시스템은 프로젝트 디렉토리, 구성요소 디렉토리를 지정해야 합니다. 이를 기반으로 빌드되며 빌드 순서는 Component 빌드 -> Project 빌드 순서로 진행됩니다. Build..

안녕하세요. 09LABS 입니다. 아두이노와 같은 오픈소스 하드웨어에는 여러 종류가 있고 블루투스를 사용하려면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MCU 또는 블루투스 모듈을 사용해야 합니다. 저는 ESP32를 주로 사용하여 개발을 했었는데 아두이노 Framework를 사용하여 개발하다보니 개발에 제한적인 부분이 있었습니다. 무엇보다도 Espressif에서 제공하는 모든 API를 활용할 수 없고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 수 없다보니 직접 스터디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ESP-IDF Programming Guide : https://docs.espressif.com/projects/esp-idf/en/latest/esp32/get-started/index.html Get Started - ESP32 - — ESP-..